새싹(SeSAC) 데이터드리븐 디지털마케팅 강의 후기/1. 디지털마케팅 기초

[디지털마케팅기초 강의 후기] SeSAC 러닝스푼즈 데이터 드리븐 마케팅 강의 : 3일차 - 퍼포먼스마케팅의 기초 2

레로 2023. 8. 31. 18:59

퍼포마 기초 1 필기 마지막에서 정리하던 내용들을 마저 이어서 정리하며 글을 시작합니다!

* 기업 과제를 진행하면서 필기가 없는 주간에는, 이 블로그 만들기 이전 진도의 필기들을 정리해서 올려볼게요!


 

4) 세션Session – 방문횟수

한번 페이지에 접속하면, 사용자 id가 얼마나 그 페이지에 체류했는지 시간을 체크 (최대 30분) = 사용자의 잔존 시간!

- 페이지를 이동하면 기존 세션은 끊기고, 새로운 페이지에서의 세션이 다시 카운팅

- 세션이 12시 자정 기준으로 초기화됨 - 초기화 전/후 총 2번 세션 카운팅됨 (오차 발생 가능)

▷페이지 기획고객 잔존시간을 늘리기 위해 세션이 하나의 중요한 평가 지표.

- 세션이 길다고 페이지의 질 자체가 높다고 볼 순 없으나 (오래 있다고 전환이 잘 일어나는 건 아니므로)

- 지나치게 짧은 세션(사용자가 빠르게 이탈했을 때) 역시 마찬가지

- 직관적으로 핵심만 보여줘서 빠르게 전환을 일으키는 페이지 역시 세션이 짧을 수 있음

때문에 세션 길이뿐 아니라 소비자의 전환 데이터를 함께 고려해야 함

 

5) 페이지뷰 – 페이지 조회수

페이지뷰 / 유니크 페이지뷰(같은 페이지를 여러 번 조회했다면 1번만 카운팅)를 구분해야 함

페이지 기획 및 구성의 중요 요소!

 

6) 이탈률 bounce

페이지에 접속하고, 전환이 일어나지 않고 그냥 나가버리는 경우 = 이탈!

 

7) 위의 주요 4개 매트릭스와, 디멘션을 연결!

디멘션 또한 4가지 주요 측정기준 요소가 존재

– 잠재고객(어떤 사람이)

- 획득(어떤 채널을 통해 유입?)

- 행동(어느 페이지들을 보고 나가는가?)

- 전환 (해당 페이지에서 우리가 원한 반응이 일어났는가?)

 

(웹페이지 예시)

앱 다운로드 / 공유하기 / 서비스 상세 보기 / 혜택 받기 등등, 페이지 내 여러 버튼마다 스크립트 코드를 설치.

-> 전환 목표를 ‘앱다운로드’로 설정하면, 디멘션은 앱다운로드를 클릭한 횟수를 보여줌

(ex. 앱 다운로드 전환값이 3이다? 앱다운로드 버튼을 누른 사람이 3명이구나)

 

Cf. 진짜 고객이 되기 전인 감안 고객은 내부 로그데이터가 없음

-> 해당 고객이 가입을 해서, 퍼스트파티 데이터로 들어올 경우 (진짜 고객이 될 경우)

-> 애널리틱스로 파악했던 이전의 외부 로그데이터 또한 내부데이터로 끌어들여, 고객들의 유입/관심사/지역(ip 기준으로 사용자 카운팅하므로 지역도 파악 가능)/자주 쓰는 매체 등 데이터를 분석

(ex. 우리 사이트에 들어온 사람들이 푸드 다이닝 트렌드 관심도가 높네?)

8) 측정기준 – 잠재 고객

- 인구통계 / 관심분야 / 지역 / 디바이스 / 브라우저 등등… 다양한 기준 요소를 선택 가능

- 신규방문과 재방문 -> 재방문수는 리마켓팅 타깃의 모수를 파악하는데 참고

(cf. 검색광고는 해당 키워드를 검색하는 사람들이 광고의 모수이므로, 광고 모수가 한정적(광고 노출량을 우리가 컨트롤할 수 없음…))

 

Cf. 기획자 & 개발자의 입장에서는

- 브라우저별(디멘션) 이탈률(매트릭스)를 파악해 각 브라우저에 최적화된 페이지 개발에 적용

- 모바일 디바이스는 기종별로 페이지 보이는 방식이 다르므로(줄바꿈 등), 기종별(디멘션)로 이탈률(매트릭스)을 파악해 페이지 가독성을 높임

(ex. 전체 평균 사용자수/세션수에 비해 지나치게 높은 이탈률이 발생하는 기종이 있다 -> 해당 기종에서 어떻게 보이는지 테스트해보자!)

 

9) 측정기준 – 획득; 어떤 매체로 들어오는가?

cf. url에 붙는 UTM 코드의 이름 기준

예시의 naver/brandsearch – 네이버 브랜드검색을 의미하는 utm 코드를 활용한 것 (cf. 브랜드 검색은 bs로 줄여 말하기도)

Direct/none – UTM 설정을 안했을 때. 유입을 제대로 측정할 수 없음 (광고와 관련 없는 자연 유입자 수가 많아보이는 오류 발생)

- 예시. 같은 광고지면에서도, 함께 첨부되는여러 장의 썸네일 소재도 소재별로 UTM을 심어두어 광고 소재 효율 파악에 활용 가능

- 키워드별로도 어떤 키워드로 검색해서 ‘유입’까지 되었는지 파악할 수 있으며, 이를 통해 추후 활용할 광고 키워드 선정에 반영. (ex. 검색수가 높은 브랜드검색 키워드는 광고비가 비싼데, 정작 전환이 일어나지 않는다면…? 브랜드검색 키워드 효율화의 필요!)

- 네이버 자연유입 (비광고 영역에 노출된 url을 눌러서 들어온 경우) 에도 utm을 심을 수 있음(ex. Naver_organic 등)

 

10) 측정기준 – 행동

페이지 내에서 사용자가 넘어가는 흐름을 파악

- 페이지의 어느 지점을 시작으로, 어느 페이지들을 쭉 둘러보다가, 어느 시점에서 이탈하는가?

 

11) 측정기준 – 전환

[실습 : 광고 성과 분석 리포트 작성하기] DSP 데이터 + 데이터 분석 TOOL 응용

  • DSP 에서 참고 가능한 데이터 - 노출수 / 클릭수 / 광고비 등
  • 데이터 분석툴에서 참고 가능한 데이터 - 키워드 별 전환 등

=> 해당 데이터 요소들을 조합해 CTR, CPC, 전환율 및 CPA 계산 진행!

728x90